전체 글70 정신적 태아의 삶 정신적 태아의 삶태어날 때 아이는 이미 정신적 삶을 부여받은 상태라는 점을 여기서 다시 강조하고 싶다. 그렇다면 이 정신적 삶이 출생할 때 시작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만일 정신적 삶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이미 태아의 내면에 갖춰져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고서야 어떻게 정신적 삶이 아이가 출생할 때 아이에게 있을 수 있겠는가? 또 태아에게도 정신적 삶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생각한다면, 태아의 삶의 어느 단계에서 정신적 삶이 시작되는가, 하는 궁금증이 생겨날 것이다. 일부 예를 보도록 하자. 아이가 9개월을 다 채우지 않고 7개월 만에 태어나는 경우가 있다. 칠삭둥이도 이미 신체가 완벽한 상태이기 때문에 살 수 있다. 그러므로 칠삭둥이도 이미 신체가 완벽한 상태이기 때문에 살 수 있다. 그러므.. 2025. 3. 3. 인간의 보편성 인간의 보편성 행동주의가 제시한 비전은 각 동물의 종이 어떻게 하여 이 환경에서 수행할 임무를 갖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 종에 속하는 개체들은 비록 자신을 세상에 태어나게 한 개체들과 독립적으로 살며 행동할지라도 어떤 식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준다.동물 둘이 자유롭고, 자유 선택권을 누리고 , 또 유리한 입장에 서기 위해 서로 다투고 있는 것처럼 우리 눈에 비칠 수도 있다. 그러나 보다 깊이 들여다보면, 동물들의 자유는 단지 각 개체의 행동 안에 들어 있는 것을 수행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각 개체는 이 행동의 명령에 따라 움직인다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달려서 앞으로 나아가는 동물이 있는가 하면, 깡충깡충 뛰는 동물도 있고 천천히 차분하게 걷는 동물도 있고 기.. 2025. 3. 2. 행동주의 행동주의이것은 새로운 사상이다. 동물이 갖게 될 습관들이 신체기관이 만들어지기 훨씬 전에 신경센터에서 정해진다. 만일 이 정신적 부분이 미리 존재하고 있다면, 그건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 말은 곧 신체기관이 정신, 즉 본능의 필요에 따라 스스로를 다듬어가면서 건설을 마무리한다는 뜻이다. 이런 식의 추론은 동물이 태어나기도 전에 습성이 이미 정해져 있으며 신체기관들은 이 습성과 본능들을 성취하기에 가장 적합한 쪽으로 형성된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이 새로운 이론에 따르면, 자연에서 중요한 것은 동물들의 버릇과 습관이다. 어느 동물이든 신체기관들이 본능의 명령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족으로 형성된다는 학설은 참으로 흥미롭다. 이 새로운 이론은 수년에 걸친 연구와 사실들에 대한 관찰을 통해 얻은 것이며, 기.. 2025. 3. 1. 하나의 계획, 하나의 방법 하나의 계획, 하나의 방법현대의 발견들도, 또 그 발견 들을 바탕으로 한 이론들도 생명과 생명의 발달에 얽힌 신비에 대해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견들과 이론들은 사실들만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우리가 성장이 어떤 식으로 일어나는지를 들여다보는 데 필요한 자료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발견이 이뤄질 때마다 이해는 조금씩 더 커지고 있지만 그 발견에 대한 설명은 아직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 현상들에 대한 관찰은 가능하며, 따라서 일상적인 생명에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한 설명은 어느 정도 가능하다.예를 들어, 관찰된 사항 중 하나는 인간을 건축하는 계획은 오직 하나뿐이며 모든 종류의 동물이 이 원칙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내가 계획이라는 단어를 쓰.. 2025. 2. 28. 창조의 기적 창조의 기적 하나의 세포에서 하나의 완전한 신체기관으로 성장하는 과정이 아직 명쾌하게 이해되지 않고 있지만, 그 같은 성장은 엄연한 사실이다. 성장은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그 성장이 너무나 경이롭기 때문에 어느 누구도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 주제에 관한 현대의 과학서적을 읽으면, 예전에 과학자들에게 저주로 받아들여졌던 한 단어가 쓰이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바로 '기적' 이라는 단어이다. 성장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성장 자체가 너무나 기적적이고 이 기적에 대한 놀라움이 언제나 똑같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관찰 대상이 된 동물이 어떤 동물이든 상관없이, 새든 토끼든 다른 척추동물이든, 동물은 예외없이 극도로 복잡하고 경이감을 불러일으키는 신체기관들로 이뤄진 것으로 .. 2025. 2. 27. 두 종류의 삶 두 종류의 삶 자연은 어린것들을 특별히 보호한다. 어린 생명은 사랑을 듬뿍 받는 상태에서 태어난다. 아이의 기원 자체가 사랑이지 않는가. 태어나기만 하면, 아이는 어머니의 사랑에 포근히 감싸인다. 따라서 아이는 투쟁 속에서 생겨나지 않으며, 세상 자체가 아이를 보호한다. 자연은 부모에게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을 주었으며, 이 사랑은 인공적인 것도 아니고 이성으로 강요되는 것도 아니다. 단결을 고무하려는 사람들이 불러일으키고자 노력하는 형제애 같은 것과는 다른 것이다. 성인 공동체의 이상적이고 도덕적인 태도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그런 종류의 사랑은 아이의 삶의 영역에서 발견된다. 오직 아이의 삶의 영역에서만 자연스럽게 자기희생을 고부 하는 그런 사랑이 발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사랑은 다른 .. 2025. 2. 26.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