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0 성장기와 몬테소리 성장기와 몬테소리어린 시절, 나는 세상에 대한 무한한 호기심과 함께 스스로를 발견해 나가던 시기를 보냈다. 그때의 나는 아직 정해진 틀이나 규칙에 얽매이지 않은 순수한 마음으로 매 순간을 경험했고, 주변의 작은 변화 하나하나가 내게는 큰 의미로 다가왔다. 지금 돌이켜 보면, 그 성장기의 모든 순간들이 오늘의 나를 만들어 준 소중한 자양분임을 느낀다. 특히 몬테소리 교육 철학과 만나면서 내 안에 있던 숨겨진 가능성과 자율성이 깨어나기 시작했음을 확신한다.1. 성장기의 기억: 작은 발걸음들이 쌓여 큰길이 되다나 어릴 적, 학교 교실에서 선생님이 정해 놓은 교과서를 바라보며 공부하던 기억은 단순히 지식을 쌓는 시간이 아니라, 내 자신을 알아가는 여정의 한 부분이었다. 친구들과 함께 뛰놀며 서로의 다른 점을 배.. 2025. 2. 25. 교육과 사회의 임무 교육과 사회의 임무삶을 교육의 중심에 놓는 교육이란 과연 어떤 것일까? 삶을 중시하는 교육은 교육에 관한 이전의 모든 사상을 완전히 뒤엎을 개념이다. 교육은 더 이상 강의 요강에 근거하지 않을 것이며 대신에 인간 삶에 관한 지식에 근거할 것이다. 일찍부터 이랬어야 했지만, 만일 지금이라도 교육이 이런 식으로 전개된다면, 갓 태어난 아이에 대한 교육이 갑자기 중요성을 얻게 될 것이다. 신생하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며, 일반적인 의미에서 신생아는 가르치지도 못한다는 말은 진실이다. 신생아는 관찰될 수 있을 뿐이다. 신생아가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내려면 신생아를 연구하는 수밖에 없다.몬테소리 교육 관계자들은 삶의 법칙을 발견할 목적으로 이런 관찰을 수행하고 있다. 아이들을 오랫동안 관찰하는 이유는 삶.. 2025. 2. 24. 학교와 사회생활 학교와 사회생활몬테소리 학교가 출생과 동시에 , 아니 출생하기 이전부터 시작되는, 삶을 위한 교육이라고 할 때, 이 삶을 위한 교육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이 장 첫머리부터 알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 문제를 세밀하게 깊이 파고들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최근에 처음으로 국가의 어느 지도자가 교육을 평생으로 확대할 필요성을 역설 했을 뿐만 아니라 '삶의 보호' 를 교육의 핵심으로 삼을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쓴 '처음으로'라는 표현은 정치 및 정신적 지도자가 이 문제를 언급한 것이 처음이라는 뜻이다. 왜냐하면 과학은 그런 교육의 필요성을 표현했을 뿐만 아니라 금세기초부터 교육을 평생으로 확대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논문까지 발표했기 때문이다. 삶을 .. 2025. 2. 23. 개척되지 않은 자원 개척되지 않은 자원대단히 광범위하게 관찰한 결과, 어린아이는 특별한 정신적 본질을 타고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우리에게 교육을 전할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 인간의 속성을 근거로 한 완전히 다른 형태의 교육이며, 지금까지 한 번도 고려되지 않았던 형태의 교육이다, 아이들의 건설적인 에너지는 생생하고 역동적임에도 불구하고 수천 년 동안 미지의 세계로 남아 있었다. 인간이 이 땅 위에 처음 등장해 땅을 경작하면서도 그 땅 깊은 속에 묻힌 거대한 자원을 몰랐듯이, 오늘날의 인간도 어린이의 정신세계에 묻혀 있는 자원을 알지 못한 가운데 문명의 진보를 꾀하고 있다. 정말로 인간은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오랜 세월 동안 아이들이 에너지를 억압하며 낭비해 왔다. 몇몇 사람이 이 에너지의 존재에 눈을 돌리기 시.. 2025. 2. 22. 이전 1 ···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