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두 종류의 삶

by montessori1023 2025. 2. 26.

 

두 종류의 삶

자연은 어린것들을 특별히 보호한다. 어린 생명은 사랑을 듬뿍 받는 상태에서 태어난다. 아이의 기원 자체가 사랑이지 않는가. 태어나기만 하면, 아이는 어머니의 사랑에 포근히 감싸인다. 따라서 아이는 투쟁 속에서 생겨나지 않으며, 세상 자체가 아이를 보호한다. 자연은 부모에게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을 주었으며, 이 사랑은 인공적인 것도 아니고 이성으로 강요되는 것도 아니다. 단결을 고무하려는 사람들이 불러일으키고자 노력하는 형제애 같은 것과는 다른 것이다. 성인 공동체의 이상적이고 도덕적인 태도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그런 종류의 사랑은 아이의 삶의 영역에서 발견된다. 오직 아이의 삶의 영역에서만 자연스럽게 자기희생을 고부 하는 그런 사랑이 발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사랑은 다른 존재에게 자기를 헌신하도록, 다른 존재를 위해 자신을 헌신하도록 고무한다. 모든 부모는 자신의 감정 깊은 곳에서 자식들에게 헌신하기 위해 자신의 삶을 포기한다.


아버지와 어머니가 치르는 이 희생은 쾌감을 주는 자연스런 그 무엇이다. 희생으로 보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 아이를 둘이나 두다니 얼마나 불행한 사람인가!"라고 말하는 사람은 세사에 아무도 없다. 아이를 둘 가진 부모를 보면 세상 사람들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아내와 아이들을 두다니, 이 사람은 얼마나 행복한 사람인가. 저렇게 아름다운 아이를 갖는 것이 엄마에겐 얼마나 큰 기쁨인가!"
그럼에도 부모의 입장에서 냉철하게 생각하면 부모는 아이들을 위해서 정말로 자신을 희생한다. 그러나 그것은 쾌감을 주는 희생이다. 그것이 곧 삶이다. 그러기에 아이는 성인의 세계에 어떤 이상을 고무한다. 대단히 실천하기 힘든 자기희생인 자제가 바로 그 이상이다.
어떤 사업가가 시장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아주 귀한 것을 발견했는데 그걸 경쟁자가 갖고 간다면 이렇게 말할 것이다. "당신이 그걸 갖겠다고? 나에겐 그것이 필요하지 않단 말인가?" 그러나 부모와 자식이 있는데 둘다 배가 고프다면, 아버지나 어머니는 자기 자식에게 "네가 먹겠다고? 나는 배가 안 고프단 말이냐?"라는 식으로 말하지 않는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희생은 아이의 세계에서만 발견될 수 있는 매우 고귀한 사랑이다. 이 사랑을 주는 것은 자연이다. 그렇다면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삶이 있다. 어른은 두 가지 삶에 모두 참여할 수 있는 특권을 누린다. 한 삶에는 아이 때문에 참여하고, 다른 한 삶에는 사회 구성원이기 때문에 참여한다. 두 종류의 삶 중에서 더 나은 쪽은 아이와 관련 있는 부분이다. 이 종류의 삶에서 어른의 숭고한 감정들이 개발되기 때문이다.
이런 연구가 인간이 아닌 다른 동물들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하더라도 똑같이 두 가지 유형의 삶이 발견된다는 것은 재미있는 사실이 아닐 수 없다. 예를 들어 가족을 이루게 되면 본능을 바구는 것 같은 포악한 동물들이 있다. 호랑이와 사자도 자기 새끼 귀한 줄을 안다는 사실은 모두가 다 잘 알고 있다. 심지어 순해 빠진 사슴도 새끼 앞에선 용감해진다. 모든 동물들에게서 자신이 보호해야 하는 새끼가 생기면 본등기 거꾸로 발동하는 것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특별한 어떤 본능이 일상적인 본능들을 덮어버리는 것 같다. 인간보다 겁이 더 많은 동물들도 자기보존 본능을 갖고 있지만, 새끼가 딸리게 되면 자기 보존 본능이 새끼보존 본능으로 바뀐다.
새들도 마찬가지다. 새들에게 생명을 보호하는 본능은 위험이 다가오는 순간에 그냥 공중으로 날아오르는 것이다. 그러나 어린 새끼가 딸렸을 때에는 날아가 버리면 그만인 새도 결코 날아가지 않는다. 그러기는커녕 알의 하얀색을 가리기 위해서 마치 얼어붙은 것처럼 둥지에 그래도 남는다. 또 어떤 새들은 적에게 발견되지 않은 새끼를 보호할 목적으로 적을 유인하기 위해 적의 턱밑에서 날지 못하는 척 꾸미기도 한다. 평상시였다면, 이 새는 잡힐 위험을 무릅쓰지 않고 그냥 날아가 버렸을 것이다.

 

결론
자기보호 본능에는 파브르가 주로 곤충들의 보호 본능을 다루면서 16권의 책을 채울 수 있었던 그런 디테일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온갖 종류의 생명체들을 연구하면서 두 가지 종류의 본능이 필요하고 또 두 가지 유형의 삶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것을 인간 생명의 영역으로 옮긴다면, 아이의 삶에 대한 연구는 사회적 이유가 아니더라도 그것이 어른에게 미치는 영향 때문에라도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아이의 삶에 대한 연구는 바로 그 삶의 기원으로 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