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새로운 선생

by montessori1023 2025. 3. 23.

새로운 선생

새로운 선생

몬테소리 학교가 거둔 놀라운 성공은 인도에서 이뤄지고 있는 비슷한 시도와 실험의 전망을 밝게 한다. 왜냐하면 인도에서 들리는 불평 중 하나가 훌륭한 선생이 부족하다는 소리이기 때문이다. 성실한 사람을 찾아서 이용해야 한다. 인도 시골의 부모는 아마 문맹일 것이다. 그것이 어쩌면 아이에게 더 좋은 조건일 수 있다. 빈곤에 대해 말하자면, 그것도 영적 자질을 개발하는 데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모든 사람에게 부를 포기하라고 말하기 는 어렵다. 설령 그렇게 한다 하더라고 제대로 먹히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모든 나라의 중교 지도자들은 세속을 등지고 빈곤을 추구했다. 가난을 강요할 필요는 없지만, 가난에 놀라서는 안 된다. 받아들일 수만 있다면, 영적 발달에 가난보다 더 좋은 조건은 없기 때문이다. 만일 우리가 아이에게 자유를 부여하는 실험을 하길 원한다면, 빈곤 지역이야 말로 최적의 공간이다. 실험을 쉽게 실시하고 또 동시에 성공을 확실히 원한다면, 누구든 빈곤한 아이들의 세계로 가도록 하라. 우리는 그런 아이들에게 지금까지 가져보지 못한 교재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아무것도 갖지 않은 아이에게 과학적으로 만든 교재를 주었는데, 아이는 그런 교재에 열광적인 반응을 보였다. 깊은 관심은 물론이고 정신 집중과 깊은 생각까지 불러일으켰다. 42년 전에 이 같은 사실은 대중들에게 큰 놀라움을 안겨주었다. 3세된 아이가 정신을 집중할 수 있다는 인식은 그때까지 전혀 없었다. 그러던 것이 이젠 아이의 정신 집중은 기본적인 요소로 통하고 있다. 정신 집중이 환경을 하나씩 치열하게 응시하고 탐험하면서 모든 것에 대해 곰곰 생각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상적으로 불만스러운 조건에 처해 있다면, 아이는 모든 것을 가볍게 여기며 이곳저곳으로 시선을 옮길 뿐 어느 곳에도 정신을 집중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이 아이의  특징은 아니다. 불만족스러운 환경이 아이에게 그런 식으로 정신을 집중하지 못하도록 만들고 있을 뿐이다.

3세 된 아이의 내면에서도 그 신비한 선생이 여전히 활동하며 아이에게 노력하라고 가르치고 있다. 우리가 자유로운 아이(내면의 자유를 누리고 있는 아이)라고 할 때, 그 아이는 자신의 내면에 있는 자연의 막강한 안내자를 자유롭게 따르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 자연의 안내자는 대단히 현명하며 아이가 일을 제대로 완수하도록 이끈다. 아이는 자연에 이끌려 모든 세부사항(예를 들어, 먼지를 턴다면 아이는 탁자의 위와 옆, 아래와 모든 홈을 두루 살피게 된다.)을 다 들여다보게 된다. 몬테소리 학교가 교육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이런 것들이다. 지금 선생이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선생이 하는 것에 주의를 집중하는 것뿐이다. 그러면 학생들이 배워야 할 것을 다 배우게 된다는 인식이다. 선생이 성공으로 기대할 수 있는 최상의 수준은 바로 그런 것이다.

그러나 몬테소리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주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선생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가 탐구하고 발견하며 배움의 기쁨을 느낄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있다.

몬테소리 교육 방식에서는 아이들의 자발성과 내면의 동기를 중시한다. 아이들이 특정한 활동에 몰입하는 순간을 존중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그들이 스스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도록 기다리는 것이 교육자의 역할이다. 전통적인 교육에서는 아이들에게 수동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몬테소리 교육에서는 아이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교육 철학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 몬테소리 교실은 아이들이 자유롭게 움직이며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아이들의 발달 단계에 맞춘 교구와 학습 자료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아이들은 직접 만지고 실험하며 자신의 속도에 맞춰 배워나간다. 또한 교실 환경은 정리 정돈이 잘 되어 있고, 조용한 분위기를 유지하여 아이들이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아이들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과정에서 책임감과 자율성이 길러진다. 예를 들어, 한 아이가 특정 교구를 선택하여 탐구하는 동안, 다른 아이는 글씨를 연습하거나 숫자 개념을 익힐 수 있다. 이러한 개별화된 학습 환경은 아이들이 자신의 관심과 필요에 따라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몬테소리 교육에서는 사회적 협력과 배려를 강조한다. 연령이 다른 아이들이 함께 생활하며 서로 돕고 배우는 기회를 갖는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은 어린 동생들에게 배운 것을 가르쳐주면서 스스로도 더 깊이 이해하게 되고, 어린 아이들은 형과 누나의 도움을 받으며 자연스럽게 사회적 상호작용을 익힌다. 이러한 공동체적인 학습 환경은 아이들에게 협력과 존중의 가치를 가르쳐준다.

결론

결국 몬테소리 교육의 목표는 아이들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성장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아이들은 내면의 동기를 바탕으로 자율적으로 배우고, 이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 경험은 평생 학습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다. 몬테소리 교육은 단순한 학습 방법을 넘어, 아이들이 자신을 발견하고 세상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철학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